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증장애인 생계급여 모의계산 방법 안내

by [베루스비바] 2025. 5. 22.

중증장애인을 위한 생계급여는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 이하인 경우 지원되는 복지제도입니다. 실제 신청 전, 내가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미리 확인하고 싶을 때는 ‘생계급여 모의계산’을 통해 간단히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중증장애인 생계급여 모의계산의 개념, 계산 기준,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안내합니다.

 

중증장애인 생계급여 모의계산 방법 안내 관련 사진
중증장애인 생계급여 모의계산 방법 안내

 

모의계산이란?

모의계산은 공식적인 신청 절차가 아니며, 예상 수급 가능 여부와 금액을 간편하게 확인해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복지로(www.bokjiro.go.kr)에서 제공하는 계산기를 이용하거나, 본인의 소득과 재산 정보를 기준으로 수기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생계급여를 신청하기 전 자신의 수급 가능성을 미리 점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계산 기준: 기준 중위소득 32% 이하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 대비 32% 이하일 때 수급 가능하며, 다음 조건이 적용됩니다: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예시:
    • 1인 가구: 약 765,444원
    • 2인 가구: 약 1,263,220원
    • 3인 가구: 약 1,626,395원
    • 4인 가구: 약 1,951,287원

이 수치보다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낮아야 생계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소득인정액이란?

소득인정액은 수급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로, 단순히 월급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가구가 가진 전체 자산을 일정한 기준으로 월 소득으로 환산하여 더한 값입니다.

  • 소득인정액 = 실제 월소득 + 재산의 월소득 환산액 - 공제항목

실제 월소득

  • 근로소득, 사업소득, 연금소득, 기타 소득 등이 포함됨
  • 일정 금액까지는 근로소득 공제가 적용되어 실제 계산 시 낮게 반영될 수 있음

재산의 소득환산

  • 예금, 부동산, 자동차 등 자산을 월 소득으로 환산
  • 환산율은 일반재산 4.17%, 금융재산 6.26% 등 자산 항목별로 다름

주요 공제 항목

  • 기본공제: 가구원 1인당 55만원
  • 장애인 공제: 중증장애인일 경우 추가 공제
  • 노인근로소득공제: 65세 이상 고령자 소득 일부 제외

모의계산 예시 (2025년 기준)

가구원 수: 2명 (장애인 1명 포함)

  • 월소득: 800,000원
  • 재산: 3,000만원 (일반재산 환산율 4.17%) → 월 환산액 약 125,100원
  • 총 소득인정액: 925,100원
  • 기준 중위소득 2인 기준: 1,263,220원
  • 차액: 1,263,220원 - 925,100원 = 약 338,120원
    → 생계급여 수급 가능, 예상 지급액: 약 338,120원

복지로 모의계산 방법

  1.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
  2. 상단 메뉴 → ‘복지서비스 모의계산’ 선택
  3.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항목 클릭
  4. 가구원 수, 소득, 재산, 공제 사항 등을 순서대로 입력
  5. 계산 결과 화면에서 수급 가능 여부 및 예상 급여액 확인 가능

※ 복지로 모의계산 결과는 실제 수급 심사 결과와 다를 수 있으며, 참고용으로만 활용해야 합니다. 정확한 판단은 관할 주민센터 실태조사 및 자산조사 후에 이루어집니다.

주의사항 및 팁

  • 수급 가능 여부는 반드시 실무자 상담을 병행: 모의계산 결과만으로 단정짓지 말고, 주민센터나 복지상담센터에 방문하여 실제 심사 기준을 확인
  • 차상위 계층 여부 확인: 생계급여는 아니더라도 차상위 본인부담경감 대상 등 다른 지원 받을 수 있음
  • 금융정보 제공 동의 필수: 신청 시 모든 금융기관 자료 조회 동의가 있어야 정확한 심사 가능

결론

중증장애인 생계급여는 복잡한 소득·재산 심사를 거쳐 결정되지만, 모의계산을 통해 수급 가능성을 미리 확인하면 불필요한 서류 제출이나 신청 지연을 줄일 수 있습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를 통해 정확한 상담을 받아보시고, 반드시 필요한 지원을 빠르게 받으시기 바랍니다. 특히 중증장애인은 추가 공제 혜택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를 충분히 반영한 계산이 중요합니다.